소화기 내과
comfortable internal medicine
진료시간
-
평일 am 08:30 ~ pm 06:00
점심 am 01:00 ~ pm 02:00
토요일 am 08:30 ~ pm 02:00
간담췌장질환
- HOME
- 내과클리닉
- 소화기내과
- 간담췌장질환
간장질환
간장은 우리 몸속에서 가장 큰장기로 에너지를 대사하고 저장하며, 약물이나 호르몬 분해 및 해독 작용을 담당
하는 중요한 장기입니다.
간은 침묵의 장기로 일단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는 전체 간의 3/4가 손상된 경우가 대부분으로 평소에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생활습관으로 조기에 질병을 예방하고 진단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장질환의 원인
과음하여 생길 수 있는 알코올성 질환, 바이러스를 통한 간질환, 약물 복용에 의한 독성 간질환, 인체 면역계통 이상으로 생기는 자가면역성 간질환, 독성 물질을 축적하며 생기는 대사성 간질환이 있습니다.
간장질환의 증상
대부분의 가벼운 간장질환에는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증상을 잘 느끼지 못하지만 간장질환이 심해진 경우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고, 오른쪽 윗배의 통증이 있거나 황달현상, 부종, 복수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간세포와 조직에 생긴 염증: 간염
대부분의 가벼운 간장질환에는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증상을 잘 느끼지 못하지만 간장질환이 심해진 경우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고, 오른쪽 윗배의 통증이 있거나 황달현상, 부종, 복수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급성 간염 | 만성 간염 |
---|---|
|
|
간세포 사이에 지방이 과하게 쌓인 지방간
정상 간의 경우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5% 정도인데, 이보다 많은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지방간이라고 합니다.
지방간은 크게 과음으로 인한 알코올성 지방간과, 비만, 당뇨, 고지혈증, 약물 등 으로 인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알코올성 지방간
- 알코올성 지방간은 알코올을 많이 섭취하여 간에서 지방합성이 촉진되고 정상적인 에너지 대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발생하게 됩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 술을 많이 마시지 않는 지방간 환자 중에서도 간염이 관찰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지방성 간염' 이라고 합니다. 지방성 간염은 간에 지방이 축적될 뿐 아니라 간 세포가 괴사되는 염증 징후가 동반된 경우를 말합니다. 지방성 간염의 원인 또한 지방간과 비슷하여 어떤 경우에 지방간이 되고 또 어떤 경우에 지방성 간염이 되는지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 지방성 간염 중 일부는 만성간염, 간경변증으로 발전하기도 하고, 거의 희박하지만 급격히 간 기능이 나빠지기도 합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은 지방대사의 이상을 초래하는 전신질환이며 주로 성인병에 동반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만성적 염증으로 간이 딱딱해지는 간경변증
간경변증은 만성적인 염증에 의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재생 결절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말하며, 만성 B형 간염 혹은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나타납니다.
증상 | 간경변증의 증상은 매우 다양한데, 피부에 붉은 반점이 거미 모양으로 나타나고 호르몬 대사의 이상으로 손바닥이 정상인보다 붉어지고, 남성은 가슴이 커지고 성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
관리 | 간 기능 손상 정도에 따라 식사 습관도 달리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고단백음식이 간의 회복과 재생에 도움이 되지만 간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저 단백 식습관을 통해 간성뇌증을 유발시키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짠 음식을 먹게 될 경우 복수가 차오를 수 있으므로, 몸이 붓거나 복수가 있는 경우 가능한 싱겁게 먹도록 합니다. |
간에 생긴 악성종양: 간암
한국인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악성 종양의 하나로서, 간암에 의한 사망률이 인구 10만 명당 30명 정도로 많습니다.
증상 | 간암의 원인으로는 B형 간염바이러스, C형 간염바이러스 및 각종 원인에 의한 간경변증, 선천성 대사성 간질환 등이 있습니다. |
---|---|
진단과 치료 | 방사선학적인 영상검사, 혈액검사, 조직검사 등으로 진단하며, 치료는 수술적 절제술, 간암에 대한 알코올 주사, 간동맥 색전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및 간이식 등이 있습니다. |